[공부 내용]
> 리스트
[ ]를 이용해 선언. 자료형이 달라도 리스트 안에 원소로 같이 들어갈 수 있다.
example_list = [1, 2, 3, 4, 5]
print(exmaple_lst[0])
print(exmaple_lst[1])
print(exmaple_lst[2])
print(exmaple_lst[3])
print(exmaple_lst[4])
리스트 이름[인덱스] : 원하는 위치의 값을 뽑아낸다.
len(리스트 이름) : 리스트의 길이
> 슬라이싱
example_lst = [1,2,3,4,5,6,7,8,9,10]
sliceOne = example_lst[0:5]
sliceTwo = example_lst[5:10]
sliceThree = example_lst[:5]
sliceFour= example_lst[5:]
print(example_lst)
print(sliceOne)
print(sliceTwo)
print(sliceThree)
print(sliceFour)
### 출력 결과 ###
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
[1, 2, 3, 4, 5]
[6, 7, 8, 9, 10]
[1, 2, 3, 4, 5]
[6, 7, 8, 9, 10]
리스트 이름[:] : 전부 추출
리스트 이름[a:b] : a~(b-1)까지 추출
> 삽입
리스트 이름. append(#) : # 을 리스트 맨 뒤에 삽입
리스트 이름. insert(a, b) : 리스트의 a번째 자리에 b를 삽입
> 삭제
del 리스트 이름[#] : # 번째 자리의 원소를 삭제
리스트 이름. remove(#): 원소 #을 찾아 삭제
'코린이_탈출 > 파이썬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모각코_파이썬기초문법] 클래스와 생성자 (0) | 2021.01.27 |
---|---|
[모각코_파이썬기초문법] 튜플, 집합, 딕셔너리 (0) | 2021.01.26 |
[모각코_파이썬기초문법] 주말 숙제 (1) | 2021.01.24 |
[모각코_파이썬기초문법] 함수 (0) | 2021.01.22 |
[모각코_파이썬기초문법] 연산자+조건문 (1) | 2021.01.21 |